「상한론」「금궤요략」 고방(古方)의 제작원리를 밝히다
상태바
「상한론」「금궤요략」 고방(古方)의 제작원리를 밝히다
  • 승인 2014.03.06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재연 기자

전재연 기자

jyjeon@http://


새책 | 藥徵(약의 징표)
요시마스 토도(吉益東洞)는 18세기 일본 의학사의 대표적 인물이다.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의학을 추구하여 고방파(古方派) 의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대표작 「藥徵」은 상한론과 금궤요략의 처방에 사용된 약물의 징표를 적시한 본초서이다. 1771년 토도가 자서(自序)를 쓰고, 그가 죽고 12년 후인 1785년 간행됐다. 「藥徵」은 정식으로 출간되기 전의 미간행 판본이 다수 존재하는 희유한 서적이다. 「상한론」「금궤요략」의 조문에서 징표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250년 전의 한의학서라고 믿기 어려울 만큼 체계적인 논리를 갖추고 있다.
吉益東洞 原著
김종오 編著
물고기숲 刊

2000년도 훨씬 전 죽간에 기록된 상한론에서 「藥徵」과 같은 친절을 기대할 수는 없다. 고대의 의사는 최종 결과물인 방(方)과 방증(方證)만 남겨 두었다. 토도는 이 난해한 처방집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책으로 만들기 위해 「藥徵」을 썼다. 따라서 「藥徵」은 ‘처방집 상한론의 해설서’라고 할 수 있다. 「藥徵」은 각 장의 약마다 ‘主治’ ‘考徵’ ‘互考’ ‘辨誤’ ‘品考’ 등의 여러 가지 해설을 달아 놓았다.

「藥徵(약의 징표)」은 단순한 번역서를 넘었다. 원저자인 토도의 의도를 살리고 이해를 돕기 위해 쉽게 풀었다.

편저자 김종오 한의사는 ‘主治’ ‘考徵’ ‘互考’ ‘辨誤’ ‘品考’의 번역에서 한자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완전한 순우리말 번역을 지향했다. 한자를 참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윗첨자 형태로 보충했다.

편저자는 “「藥徵」 간행본의 판본은 1785년 斯文堂에서 발행한 平安書林本을 저본으로 삼았다”며 “「藥徵」은 간행본 외에 「藥徵寫本改稿七」(南涯本)과 「藥徵異本」(초기本)으로 불리는 판본이 더 있다”고 말한다. 이 두 판본의 내용 중에 약의 主治는 모두 고딕체로 기록하여 독자의 학문적 편의를 도모했고, 그 외에 간행본과 차이가 있거나 참고할 만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다루었다고 밝혔다.

이 책은 60개 약물의 징표를 담았다. 간행본에는 없는 선복화와 맥문동이 추가돼 있다. 선복화는 「藥徵寫本改稿七」을 본문으로 사용했고, 맥문동은 「藥徵異本」의 내용을 본문으로 사용했다.

편저자는 “가장 중요한 ‘主治’ 조문에 상세한 설명을 추가했고, 본문 사이사이에 있는 ‘징표’ 글상자에서 보충설명이나 자료를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록했다”고 책의 특징을 설명했다. 편저자는 또한 ‘證 인덱스’를 만들어 임상에 적용하기 쉽도록 했다.

편저자는 하동출신의 한의사이자 의학역사학자이다. 경희대 한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의사학교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임상에 ‘상한·금궤’의 고방만을 사용하면서 임상과 기초서적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조선시대 대표적 본초서인 「本草精華」와 요시마스 토도의 의학사상을 연구한 「吉益東洞」을 번역했다. (값 7만5000원)

전재연 기자 jyjeon@mjmedi.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