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칼럼] 인생의 혈(穴)
상태바
[김영호 칼럼] 인생의 혈(穴)
  • 승인 2017.01.12 0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호

김영호

mjmedi@http://


‘혼불’이라는 소설을 읽어보진 않았다. 대신 ‘혼불’을 쓴 최명희(崔明姬)작가의 인생에 대해 신문을 통해 본적이 있다. 그녀는 20년 동안 소설 <혼불> 10권을 쓰고 결혼도 하지 않은 채 52세의 나이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대작 소설을 쓰는 동안 자신의 몸은 완전히 탈진이 되어 버렸다. 소설 속에는 불꽃같은 삶을 살았던 그녀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구절이 있다.

한 사람의 인생에도 역시 혈이 있을 것인 즉...참다운 혈을 못 찾은 사람은 헛되이 한 평생 헤맬 것이요...” 가슴이 ‘쿵’하는 구절이다. 인생의 소명(召命), 이번 인생에서 부여받은 역할을 찾은 사람을 최명희 작가는 혈(穴)을 찾았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녀의 인생도 소설 속 구절도 시리게 아름답다.

우리나라도 분야를 막론하고 ‘잘 하는 사람’은 넘쳐나고 있다. 전문직이라고 하는 전문적 능력을 갖춘 사람들의 희소성이 사라진지도 오래다. 동네마다 의사들이 넘쳐나고 변호사, 회계사 역시 쉽게 만나볼 수 있다. 과거에는 본인의 적성에 맞지 않더라도 전문직만 되면 남들보다 잘 살 수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전문직의 수가 늘고 내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공이 보장되던 시대는 지나가버렸다.

연예인이나 예술인들도 마찬가지다. 옛날엔 노래만 잘해도 인기를 얻었고 인물만 출중해도 배우가 되었다. 그런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다 잘해야 살아남는다. 게다가 잘 하기만 해서는 오래가지 못한다. 거기에 독특한 매력, 그 사람만이 가진 특별함까지 갖추어야 오래간다. 참 살기 힘들고 치열한 경쟁의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다.

‘노력하면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될 수 있다’는 노력 제일주의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생각을 해본다. 노력해서 이를 수 있는 단계는 아무리 높다 해도 인간의 영역이다. 인간의 노력으로는 어느 단계 이상을 뛰어넘을 수 없다. 가수를 발굴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도 노래 잘 하는 사람은 너무 많다. 그런데 그 많은 ‘노래 잘 하는 사람’들이 모두 가수가 되지는 못한다. 가수를 지도하는 보컬 트레이너 중에 유명한 가수가 흔치 않은 것과 비슷한 이치다. 노력으로 이를 수 있는 인간적 단계, 그 이상의 차원이 있다.

그것은 ‘타고난 재능과 색깔’이다. 타고난 것들은 인간의 차원이 아닌 신의 차원이다. 신이 부여해준 능력인 셈이다. 일부 천재들만의 얘기가 아니다. 우리는 모두 이런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리고 그 능력은 모두 세상을 위해 쓰임이 있기에 태어날 때부터 부여받은 것이다. ‘➀별로 노력하지 않았는데 잘 하는 일’ ‘➁아무리 오래해도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몰입하는 일’ ‘➂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하고 싶은 일’ 이런 일들이 바로 태어날 때부터 우리가 부여받은 <능력>이다. 벌써 찾았을 수도 있고 아직 못 찾았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부여받은 능력은 유지하기가 참 어렵다. 이 능력만 개발해서 직업으로까지 연결하면 좋은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다. 우리가 가족과 사회 속에서 부여받은 역할들을 수행하면서 우리의 에너지는 고갈되고, 우리가 가지고 태어난 재능의 빛은 약해진다. 많은 연예인들이 초창기에 반짝 빛을 내다가 추억의 스타로 사라져가는 것도 예술가로서의 빛을 유지하지 못하고, 연예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다가 빛이 쇠퇴해져서다. 인생에 있어 혈(穴)을 찾는 다는 것은 결국 태어나면서 부여받은 나의 재능을 알고 지켜나가는 것에서 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태어날 때부터 받은 자기의 소명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은 취미와 직업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메이저리그 LA 다저스의 내야수 저스틴 터너는 이런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나와 나의 타격 선생이었던 래타는 일주일 내내, 그리고 하루 종일, 다른 얘기는 거의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 오로지 야구에 대한, 그것도 타격과 스윙에 대한 것만 열심히 떠들고 토론한다. 그래도 싫증이 나지 않았다. 딱딱하거나 지루했던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영화나 연극, 노래나 그림에 푹 빠진 예술가들도 하루 종일 자신의 예술에 대해서만 얘기해도 지루하지 않고 시간 가는 줄 모른다고 한다. 이런 일을 직업으로 삼고 사는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얼굴에서 빛이 난다.

‘혼불’을 쓴 최명희 작가가 얘기한 인생의 혈(穴)을 찾는 다는 것이 바로 이런 인생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문득 마음속에서 질문이 피어오른다. 나 그리고 우리는 인생의 혈(穴)을 찾았을까? 우리는 태어나면서 부터 부여받은 능력과 소명(召命)을 발견하고 지켜내고 있을까? 소명(召命)이 아닌 일을 해나가면서 매일매일 역풍(逆風)속에 항해중인 것은 아닐까?

우리가 인생의 혈(穴)을 찾게 되면 일은 즐겁게 되고, 매일 출근이 기다려지며, 미래와 과거에 대한 걱정과 후회도 없이 오롯이 지금에 몰입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삼성의 창업자 故 이병철 회장의 말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지를 잘 알고 있을 때 가장 행복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1976년 전경련 회보 ‘나의 경영론’ 中에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