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문헌고찰의 필요성-임상가 관점에서
상태바
체계적 문헌고찰의 필요성-임상가 관점에서
  • 승인 2017.03.31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아

이주아

mjmedi@http://


한의학계의 근거기반의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련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③

체계적 문헌 고찰의 개념으로 대표되는 근거 기반 의학 (Evidence-based medicine, EBM) 은 이와 같이 현재까지 존재하는 최선의 과학적 근거를 현명하게 이용하여, 임상에서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이며1) 임상적 경험과 기술, 또는 그 분야의 대가에게 배운 내용만을 의존하지 않고 최선의 근거를 활용하는 것이다2).

특히 의료 현장에서 경험에서 오는 편향성을 가지고 진료하는 경우가 많은데 포괄적인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신뢰성이 보장된 정보를 제공받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많은 자료에서 근거를 찾고 진료에 이용하기에는 실지 진료를 수행하는 임상의에게는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관련된 모든 논문을 찾아볼 수도 없고, 그것을 종합하여 진료에 활용하기는 많은 시간적 제한이 따른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의 한가지로 출간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체계적 문헌 고찰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연구 자원을 모두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는 의료 기술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한국 보건의료 연구원에서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이용하여 의료기술을 평가하여 요양급여 대상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체계적 문헌 고찰의 과정은 임상질문 만들기, 최선의 근거 검색, 비판적 평가(근거의 타당성 및 유용성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사실 EBM에서는 그 다음 순서인 근거의 적용(임상에 결과를 적용) 및 평가(정보, 술기, EBM 진행과정 평가) 의 과정이 더 중요하다3).

EBM의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한 고든 가야트 (Gordon Guyatt) 는 특히 임상현장에서 교육할 때 수련 방법의 핵심적인 과정으로 EBM을 제시하였다1). 또한 EBM의 또다른 대가인 데이비드 사켓 (David Sackett) 은 “가장 최선이며 최신의 근거를 공정하고 명쾌하고 현명하게 이용하여 개별 환자에게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하여 결정하는 것” 이라고 정의하였는데4), 이는 EBM이 단순히 논문을 쓰고 체계적 문헌 고찰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최선의 지식이 의료 현장에서 쓰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의 중재를 대상으로도 많은 수의 체계적 문헌 고찰이 수행되었고, 코크란 그룹에서는 방법론 및 지나치게 학문적인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일차 진료의, 환자를 위한 쉬운말 요약까지 제시하고 있다.(http://www.cochranelibrary.com/)

사실 한의계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많은 분야에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일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전문가의 의견 등에 기반하여 의료 현장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곤 한다5). 그러므로 충분한 임상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 임상의와 연구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연구를 기획할 때에도 기존 수행된 체계적 문헌 고찰이 활용될 수 있다.

환자에게 최선의 치료를 하고자 하는 것은 모든 醫者의 보편적인 생각일 것이다. 모든 연구를 인용하고 꿰뚫 필요는 없으나 관련 체계적 문헌 고찰을 참고하여 임상현장에서 고려해 볼 것을 많은 진료의에게 기대해 보고 싶다. 그것은 의료인으로서 환자에게 현재 최선의 치료를 제공해야 하는 의무의 측면에서 같이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Guyatt GH. Evidence-based medicine. ACP J Club 1991; 114: A16.

2) Feinstein AR. Scientific standards in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menace of daily life. Science 1988; 242: 1257-63.

3) Titler MG. Developing an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Research: Methods and Critical Appraisal for Evidence-based Practice. 7th ed. Edited by LoBiondo-Wood G, Haber J: St. Louis, MO: Mosby. 2006; 385-437.

4) Sackett DL, Rosenberg WM, Gray JA, Haynes RB, Richardson WS.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1996; 312: 71-2.

5) Titler MG, Kleiber C, Steelman VJ, Rakel BA, Budreau G, Everett LQ, et al. The Iowa model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promote quality care. Crit Care Nurs Clin North Am 2001; 13: 497-50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