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의료 기술표준화 계획이 성공하려면
상태바
한방의료 기술표준화 계획이 성공하려면
  • 승인 2007.07.27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최근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이 발표한 ‘한방 의료기술 표준화 추진 5개년 계획’은 국가가 한의학 발전을 책임지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한의학 육성발전 5개년 종합계획’ 이래 매우 의미있는 정책으로 평가된다.
한방 의료기술 표준화 계획은 한의학기술을 세계시장에 진출시켜 신산업으로 육성시키겠다는 국가적 목표가 우선하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국가의 정책목표가 산업화에 있다 하더라도 그 가치가 감소되는 것은 아니다.

국가가 5년에 걸쳐 한의학기술 표준화 사업을 진행한다는 것은 한방의료의 국민적 확산과 세계경쟁력 확보로 이어져 한의학의 위상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와 국가-국민-한의계가 상호 위윈의 관계가 되기 때문이다.
한의학에 대한 오랜 소외의 역사를 뒤로 하고 정부가 나서 표준화 로드맵에 따라 한방 치료기기와 진단기기의 품질 및 성능평가기술의 표준을 개발하고, 국제표준화기구 내에 전통의학분야 기술위원회 설치를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것은 만시지탄의 감이 없지 않으나 기대감을 갖게 한다.

한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과 일본만 해도 전통의학 관련규격을 국가표준으로 제정해 운영하고 있다. 침에 관한 중국 국가규격 GB2024나 일본의 일회용 호침 규격인 JIS T9301이 그것이다.
우리나라도 물론 학계와 한의학연구원을 중심으로 전통의학 용어표준이나 경혈명칭의 통일화, 침구 표준화, 체질진단 표준화 등을 시도하고 있지만 민간차원에서 추진돼 작업이 더딘 게 사실이어서 국가 차원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절감한 터였다.
이런 점에서 이번 정부의 한의학 표준화 계획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다만 한의계는 잘 알다시피 훈련된 연구인력이 절대 부족한 실정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계획만 세워놓고 세부 실행은 민간단체에 떠넘기고 나 몰라라 하는 식이어서는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반대로 시한을 정해놓고 밀어붙이거나 국가의 산업화전략에 한의학을 꿰맞추는 식의 표준제정도 곤란하다. ‘표준 없이는 산업도 없다’는 정부의 슬로건이 맞긴 해도 산업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부작용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모름지기 표준을 제정할 때에는 학문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보편성을 갖게 된다.
모처럼만에 탄생한 정부의 한의학 표준화 계획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낳을 수 있도록 정부-산업계-한의계의 유기적인 협력을 기대해마지 않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