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약재 되살리기 운동본부 창립 1주년 기념 특별기고(7,마지막회)
상태바
우리 한약재 되살리기 운동본부 창립 1주년 기념 특별기고(7,마지막회)
  • 승인 2003.03.19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한약문제 해결에 한의사들이 나서야”
‘한약관리법’ 제정이 최우선 과제

김 주 영(한의사․우리한약재 되살리기 운동본부 사무총장)

7. 한약 문제의 해결을 찾아서-올바른 한약 보존을 위한 긴급 제안

사라져 가는 국산 한약재를 보존하고 한약 규격품 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비영리 사단법인 우리한약재 되살리기 운동본부(약칭 한약본부)가 창립된 지 벌써 만 2년째이다.

그 동안 연인원 200여명의 한약 전문가들이 전국을 누비며 한약재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본초학 교수님들과 한의사, 한약재 가공 전문가와 농민이 함께 전남 해남부터 강원도 태백까지 뛰어다녔기 때문에 원인 분석과 대안을 단시간 내에 마련할 수 있었고, 그 성과를 6회에 걸친 특집기고를 통해 밝혔다.

지금의 한약 문제는 단순히 유통업자의 탓으로 돌릴 수 없을 만큼 매우 복잡하다.

또한 한방의료기관의 한약재 소비량이 98년 이후에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이다.

20~30대 젊은 한의사 중에서 한약을 멀리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의사들이 한약을 멀리하는 까닭은 환자의 불신을 받기 싫어서이고, 한약 조제를 통한 이익이 옛날처럼 크기 않기 때문이며, 약침과 추나를 비롯한 새로운 한방 치료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의학적 진찰을 통해 처방을 내는 방법이 전승되지 못하는 현실에서 서양 의학적 방법이 대안적으로 계속 밀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처방 하나를 배우기 위해 스승 밑에서 몇 년씩 고생하던 풍경은 이제 사라지고, 오히려 스승이 처방을 써보라고 후배들을 찾아다니며 권해야 하는 때가 도래한 셈이다.

결국 한약재 중에서 한의사가 소비하는 양은 전체에서 30% 조차 안된다.

오히려 약국이나 제약회사와 건강기능식품으로 소비되는 양이 70% 이상이다.

왜 한약이 올바르게 관리하는 법(한약관리법)이 아직 만들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건강기능식품법이 먼저 제정되었을까?

지금 한약에 있어서 한의사들의 발언권은 매우 약하지만, 전체 소비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약사나 제약회사, 식품회사의 발언권은 매우 강하다.

이러한 비관적 현실을 누구 탓으로 돌릴 것인가?

결국 누워서 침 뱉기이며, 한약을 빼앗기는 계기만 될 뿐이다.

이제라도 한의사들이 한약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우선 한방의료기관에서 한약을 구입할 때에는 반드시 제조원과 판매원이 인쇄된 규격품만 구입해야 할 것이다.

외형적으로 별 차이가 없고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반드시 믿을 수 있는 업체나 제조업체에서 포장된 정품을 구입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한약이 아니라 고품질 한약을 활용하여 차별화 전략을 구사해야 경쟁력이 확보될 것이다.

그리고 혼자서 한약 문제로 고민하지 말고, 단체나 학회를 통해서 한약의 신뢰성을 함께 높여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원칙적으로 볼 때에는 한약의 소비를 증대시키기 위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

그러나 한약관리법이 없는 현 상태에서 섣불리 소비를 촉진시켰다가 오히려 한약 품질 문제로 시비를 겪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당분간은 한약을 “한약" 답게 관리할 수 있는 법률 제정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의계 원로들께 당부의 말씀을 올린다.

젊은 한의사들 손에서 한약이 떠나지 않도록 원로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수십년간 쌓아온 임상 경험을 후배 한의사들에게 전승해야 한다는 점을 깊이 이해해주셨으면 한다.

비인부전(非人不傳)이 아니라 비인(非人)을 인(人)으로 바꾸어서라도 전(傳)해야만 한의학이 비로소 명맥을 유지할 수 있다.

후배들을 모으고 특강을 통해서 한약의 올바른 활용과 처방 구성을 전승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때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만 원에서 몇 십 만원까지 후원비를 자발적으로 내주신 몇몇 분들께 이 지면을 빌어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