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종합대책 한의계가 세워라
상태바
한약 종합대책 한의계가 세워라
  • 승인 2008.04.18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반복되는 한약재 문제를 이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대안을 마련해야 할 때가 됐다. 언제까지 이 문제를 남의 탓으로 돌리고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불량·부정 한약재가 유통되고 있는 것은 의약품 생산과 유통을 관리하고 있는 정부 책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한약재는 품질과 안전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해도 흠집이 있기 마련이고, 공정서가 정한 규정이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문제화할 수 있다.

이번 숙지황 벤조피렌 사건도 동일한 맥락으로 한의약 흠집 내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내용이 왜 호응을 얻고 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경제수준이 향상됐고, 그만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요구 수준도 올라갔다.
그러나 한의계의 현실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한의학의 고유 영역이 하나둘씩 허물어져가고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것처럼, 한의사가 언제까지 한약을 독점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 조인스정과 약국에 널려있는 한약제제를 볼 때 이미 무너졌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수준이 높아졌고, 요구가 커졌는데 한의계 혼자 변하지 않겠다고 고집할 경우 결과는 뻔하다.
한약재의 가장 큰 고민은 안전성이다. 중국이나 일본, 미국, EU는 안전성이 사회 문제화 되고, 여론의 주목을 받지 않는다. 한약재가 안전해서라기보다는 대응 세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보는 게 현명하다.

우리 상황이 이와 다르다면 대응책 역시 막연히 기준을 따라가는 식이어서는 불가능하다. 광동제약 등 대형 제약회사에서 생산해 낸 한약제제를 놓고 중금속·이산화황 등을 문제 삼는 곳도 없고, 대중들의 관심을 끌기도 어렵다. 일선 한의계도 이와 같은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
정부가 우리 한의계를 지켜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우리나라의 주류를 이루는 의료체제가 있고, 최악의 경우 한의학에서 응용이 가능한 부분만 취하면 그만이라고 생각할 가능성도 있다.

한의계는 스스로 한약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 한의학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제형 변화 등 한약이 나가야 할 방향을 종합적으로 계획하고 이끌어 나가야 한다. 한의계가 앞장서 나갈 때 정부기관도 참여하지 그들이 알아서 해주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한의계는 지금까지의 땜질식 피상적인 대응에서 탈피해 한약과 관련한 제대로 된 종합 계획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