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처방체계 구축은 한의약 발전의 기본”
상태바
“표준처방체계 구축은 한의약 발전의 기본”
  • 승인 2009.03.06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동등성 확보로 치료 재현성 제고에 필수

■ 한의학미래포럼 제17차 토론회

한의학미래포럼(대표 박왕용)은 지난 2월 27일 ‘신뢰받는 한약을 위한 표준처방체계 도입’을 주제로 제17차 토론회<사진>를 개최했다. 서울 용산역 KTX특실에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한 원광대 한약학과 김윤경 교수는 “같은 처방명이라도 세부내용은 천차만별이고, 의사소통의 전제조건인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한의학 발전이 저해되고 있다”며 표준처방체계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관련기사 700호 기획란 집중토론 참조>

김 교수는 처방의 표준화 방안으로 사군자탕, 이진탕, 사물탕 등의 기본방에 반하+진피, 향부자+사인, 황기+육계 등의 약대를 활용한 표준처방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한의사간의 상호 이해와 의사소통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교수는 표준처방체계가 이루어질 경우 제제뿐만 아니라 첩약처방도 동등성을 확보할 수 있어 치료의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표준화는 한의의료부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표준화로 효능이 향상된 보험제제는 국민들의 호응도를 높여줌으로 한의의료시장 규모 자체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처방의 표준화는 국가정책과 직결되는 부분이 많아 시급하다는 것이다. 정부가 정한 10개 기성한의서에 수재된 처방에 대해 안유심자료를 면제해주고 있어, 굳이 표준처방을 들라면 이들 처방을 거론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가지 수도 너무 많은데다가 한의사들이 이 처방을 그대로 사용하는 예가 극히 적어 제제와 한의사들이 투약하고 있는 한의약과는 차이가 난다.
원광대 한의대 강연석 교수는 “그 처방이 맞고 그른 것을 따지자는 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활용하는 다빈도 처방부터 찾아 자료화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한국의 한약표준처방은 교육과 연구부분에서 활용되므로 연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간이 다소 걸리고, 난항이 예상되지만 표준 처방이 마련되면 한의사가 활용할 수 있는 한약제제의 출시도 기대된다.
다만 한약제제의 경우 같은 처방이라도 제조공정이나 품질함량에 차이가 나 실제로 동등성을 가졌다고 말하기 어렵고, 품질에 대한 불신을 높여 결국 한방제약산업 자체를 붕괴시킬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생감초의 청열해독효능을 어떻게 측정할 것이냐”라고 지적하면 사실상 표준화는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강연석 교수는 봉독을 예로 들며 “블라인드테스트 등을 할 수 없어 신약으로 갈 수는 없었지만 ‘임상허용물질’로 인정받아 충분히 활용되고, 균일성도 확보하지 않았냐”며 “무엇보다 하려고 하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던 원외탕전도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하고, 노력한 덕에 만들어졌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한약재의 제조공정에서부터 표준화된 시스템을 마련하고, 한약제제도 제조의 편차를 줄이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족의학신문 이제민 기자 jemin@mjmedi.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