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우 원장의 실전 사암침법(23)
상태바
김관우 원장의 실전 사암침법(23)
  • 승인 2009.04.17 1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관우

김관우

contributor@http://


■ 脾勝格의 운용 ■

* 『子華子』에서 음양이 교차하는 곳에 濕이 생겨난다고 하였듯이 濕은 水火의 中氣로 간주되었습니다. 이러한 濕은 太陰土氣가 화한 바이므로 인체에서는 濕土之臟으로서 後天之本에 해당하는 脾가 이를 주관합니다. 그리고 정기로서의 濕은 음식을 통한 水穀之精微에 의해 공급되므로 그 성질이 치우치지 않고 화평하며 인체를 유윤, 자양시키는 기초적 작용을 발휘하고 운화의 원동력이 됩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되면 파이프에 낀 녹찌꺼기처럼 오히려 脾의 운화력을 떨어뜨립니다. 그리고 脾의 운화 기능 실조는 다시 濕의 정체를 초래하고 병리적 소인인 동시에 산물인 濕濁과 痰을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脾는 生痰之源이 되는 것이며 사암침법에서도 습에 의해 초래된 병증을 다스리는데 脾經을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濕證은 병변의 양상과 겸증, 병위가 매우 다양합니다.
『溫病條辨』에서 土는 雜氣라서 겸증이 대단히 많아 증을 변별하기가 가장 어렵다고 하였고, 습사가 상초에 있으면 상한과 흡사하고 하초에 있으면 내상과 유사하며 중초에 있는 경우는 외감 같기도 하고 내상 같기도 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景岳全書』에서 ‘濕從陰者’는 寒濕이 되고 ‘濕從陽者’는 습열이 된다고 하였듯이 濕의 병변이 아무리 다양해도 결국 습열과 한습으로 귀결됩니다.

* 습은 기본적으로 陰邪이므로 양기의 운행을 막아 氣機의 저체를 초래하고 한습의 병증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景岳全書』에서 “有濕從內生者, 以水不化氣, 陰不從陽而然也”라 하였듯이 특히 습의 내증은 기본적으로 양기의 운행 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병리적 습은 ‘陽化氣’ 기능의 이상에 의해 초래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습은 양기의 울체에서 초래된 열과 결부되어 습열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점에 대해 『景岳全書』에서는 “盖水之流濕, 本然同氣, 惟濕中有火, 則濕熱熏蒸, 而停鬱爲熱; 濕中無火, 則濕氣不化, 而流聚爲寒”이라 하였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습의 정류를 다스리는 脾勝格의 구성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脾勝格 : 大敦, 隱白 보; 經渠, 商丘 사

* ‘大敦, 隱白 보’의 배오는 濕滯에 의한 脾의 과부하 상태를 개선시키고 억울된 脾의 升氣 작용을 회복시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大敦은 肝木의 天符穴로서 강력한 行氣, 破氣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隱白과 배오될 경우 開達하려는 성질을 북돋아 濕滯에 의한 脾氣의 울체를 개선시키는 작용을 발휘합니다.
일반적으로 隱白은 제반 궐증에 灸法으로 百會와 함께 운용되기도 하는데 隱白의 이러한 효능은 淸陽의 不升으로 인한 기의 울체를 개선시키는 升擧下陷의 작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經渠, 商丘 사’의 배오는 脾에서 비롯된 습의 과잉 양상이 肺에 압박을 주는 상황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오행상으로 土의 子인 金을 사한 것이나 한편으로는 金克木의 기전을 제어하여 ‘大敦, 隱白 보’의 효능을 배가시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經渠는 단독적으로도 肺에 걸린 부하를 덜기 위해 사법으로 운용됩니다. 따라서 ‘經渠, 商丘 사’의 배오는 특히 濕滯로 유발된 호흡기계나 흉부의 병변을 다스리는데 좋은 효능을 발휘합니다.

* 脾勝格은 濕滯로 脾의 운화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를 개선시켜 주는데 일시적으로 유발된 濕盛이나 본태적인 濕盛의 상황에 모두 대처 가능한 치법입니다.
특히 濕濁, 食積에 의한 脾의 과부하 상태를 완화시켜주는 치법으로 널리 운용되는데 이러한 측면은 消導行氣, 制濕之劑의 작용과 유사하다 할 수 있습니다.
脾正格은 升陽을 유도하여 中氣의 운행을 정상화시키며 脾陽의 허쇠에서 기인한 습의 정체를 해소한다는 점에서 脾勝格과 차이가 있습니다.

* 脾勝格은 습울의 실증 상황에 광범위하게 운용됩니다. 따라서 脾勝格은 상대적으로 체형이 비대, 비후한 사람들에게 운용될 기회가 많습니다. 이 경우의 일반적 증상은 피곤해서 활동하기를 싫어하고 동작이 굼뜨며 눕기를 좋아하고 아침 기상시 몸이 잘 붓고 무겁다고 호소합니다.
그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막힌 듯하며 실제 복진시 심하부의 불편감이나 압통이 잘 나타나는 편입니다. 따라서 소화기계를 비롯한 순환기계의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한편 습의 성질은 중탁하므로 아래로 가라앉고 陰分에 침투하기 쉽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습의 성질은 같은 외사이면서도 陽分에 쉽게 침투하는 풍과 대비되어 인식되어 『素問·太陰陽明論』에서는 “故傷於風者, 上先受之; 傷於濕者, 下先受之”라 하였습니다.
그러나 풍과 습은 함께 결부되어 인체의 내외 모두에 병변을 초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주로 관절이나 근골격계의 통증성 병변이 주가 됩니다. 이 경우 관절의 굴신이 편치 못하며 뻣뻣한 느낌을 호소하거나 전신이 두드려 맞은 것처럼 아프기도 하는데 습한 날씨에 증세가 가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몸을 굽히고 일하다 일으키거나 펼 때 힘들어 합니다. 승모근의 상부와 후두부의 조직들이 비후되어 어깨나 목뒤부위가 잘 뭉치고 항시 머리가 맑지 못하다고 호소합니다.
또한 하지의 병증시 슬개골 주위가 붓거나 주위가 비후되어 있고 계단을 오를 때 체중이 슬개골의 앞으로 실리면서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脾勝格은 濕勝에 의한 着痺의 주요한 치법입니다.

* 습의 과잉이 심할 경우 濕土의 天符穴인 太白을 취하여 脾勝格을 ‘大敦, 隱白 보; 太白 사’의 형태로 변형하여 운용하기도 합니다. 여기에 ‘神門 사’를 배오하면 脾勝格과 心勝格의 병용이 되는데 사암은 이를 熱痰을 다스리는 치법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언급하겠습니다.)
한편 芝山은 제반 습증의 치법으로 ‘陷谷, 大敦 보; 經渠, 商丘 사’를 운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脾勝格에 胃勝格의 ‘陷谷 보’를 취한 것으로 脾胃俱實을 다스리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격주연재>

김관우
전북 익산 푸른한의원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