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한약 임상사례(84) 발열과 해열에 관한 小考
상태바
보험한약 임상사례(84) 발열과 해열에 관한 小考
  • 승인 2014.08.15 11: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준우

이준우

mjmedi@http://


문제제기
얼마 전에 한 원장님이 필자의 글 중에서 “39도가 넘는 고열인 경우 연교패독산과 함께 소시호탕 보험한약을 투약하면 효과적이다”(보험한약 임상사례 14)라는 부분을 지적하면서 “소시호탕은 보편적인 해열제라고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 원장님의 주장을 필자 나름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발열초기에는 발산이 되어야 해열이 될 수 있다. 특히 발산이 되면서 압력이 낮아져야 빠른 해열이 될 수 있다. 비유컨대 물이 팔팔 끓을 때, 뚜껑을 열어주면 끓는 속도가 확연히 줄어드는 것과 같다.
② 소시호탕의 인삼은 固表를 시키기 때문에 해열을 방해한다. 보중익기탕과 생맥산에 들어있는 인삼은 自汗에 쓰기 때문에 발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며 소시호탕은 인삼이 들어 있기 때문에 발산을 방해한다. 고로 보편적인 해열제라고 할 수 없다.
③ 이 원장님은 주로 대청룡탕과 갈근해기탕을 발열초기에 사용하며 갈근해기탕이 보편적인 해열제에 가깝다고 생각한다고 하였다.
④ 그런데 이 원장님의 진료형태가 일반적이지 않는 면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보험한약이나 달여 놓은 한약을 미리 환자에게 주고 카톡으로 실시간으로 증상을 캐치한 후 적응증에 해당되는 처방을 투약한다는 점이다. 보통 일반적인 한의원의 경우 set point에 도달하기 전 환자를 보기 힘든데, 이런 형태의 진료는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면이 있다.

고려 사항들
소시호탕이 보편적인 해열제라고 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떠나서 우선 몇 가지 지식들을 다시 검토해보고자 한다.

① 양방에서 해열제란 무엇인가?
Aspirin과 NSAID는 항 염증, 진통 및 해열제로 거의 1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작용기전은 1971년에 들어서야 Vane 등에 의하여 밝혀졌다. 즉 aspirin이나 indomethacin이 prostaglandin(이하 PG) 생합성효소를 억제하며, 또한 염증과 발열의 병인에 있어서 PG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로써 현재 NSAID의 작용기전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PG 생성 억제에 의한다는 것이 확실해졌다.(「이우주의 약리학강의」 6판, 안영수 엮음, 의학문화사, 2008)

② 해열과 발한
체온조절의 기준온도(set point)가 갑자기 상향조정되면 체온은 미처 상승하지 못하였으므로 조절시스템은 기준온도까지 체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운동을 증가시키고 피부혈관을 축소시키며 발한을 억제한다. 상향되었던 기준온도가 원상으로 돌아오면 해열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때 체온이 기준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체열손실 기전이 작용하여 피부혈관이 확장되고 땀을 흘리게 된다.(「인체생리학」 김기환ㆍ김전 저, 의학문화사, 2008)

③ 마황 계지 시호 석고
상한론에서 발열에 관한 핵심적인 약물을 꼽으라면 역시 마황 계지 시호 석고를 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며 그들의 약리적인 측면을 면역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마황의 ephedrine은 교감신경 흥분작용이 있다. 심근의 β1수용체와 말초혈관의 α1수용체를 흥분시켜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계지의 정유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순환을 조절하며 체표의 혈액순환을 증가시킨다. 또한 계지의 해열과 체온하강 작용은 피부혈관의 확장으로 열발산이 증가되고 발한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시호는 중추신경계 억제작용이 있으며, 시호의 saikosa-ponin AㆍB는 뇌하수체전엽을 흥분시켜 부신피질 호르몬 합성과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여러 염증 반응과정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다(스테로이드와 비슷하다). 4%의 석고주사액 1㎖/㎏ 이상을 집토끼와 고양이에게 정맥주사한 결과 호흡억제, 혈압강하, 혈류량 감소, 심박동 감소 등의 결과가 나타났다.(「한약약리학」 김호철 저,  집문당, 2008)

필자의 생각들

필자의 생각들

 

필자의 생각들

 

필자의 생각들

 

필자의 생각들

 

필자의 생각들태양병 즉 오한과 발열이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에서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말초혈관을 수축시키는 마황을 쓴다는 방식은 양방에서는 보기 힘든 방식인 것 같다. 해열을 위해서 pseudoephedrine제제를 쓴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 마황탕을 발한해표라고 표현해서 우리 생각에는 발한을 통해서 해열이 되는 것처럼 생각이 되지만, <그림>만 보면 기준온도(set point)가 내려갈 상황이 되어서 내려가면서 결과적으로 혈관확장이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A  발한해표하면 떠오르기 쉬운 생각: 발한→해열→체온저하
B  기준온도 그림에 근거한 경우: 상황종료→기준온도저하→혈관확장→발한→체온저하


발한이 기준온도가 떨어져서 생긴 결과냐? 아니면 발한을 통해서 기준온도가 떨어지느냐? 근거로만 보면 발한이 기준온도가 떨어지면서 생긴 결과라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것 같다. 그렇다면 마황탕의 경우는 높아진 기준온도에 더 빨리 도달하게 해서 감기를 빨리 낫게 만들어서 기준온도가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발한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된다.

전반적으로 (면역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마황은 중추를 흥분시키고 계지는 혈관을 확장시키며 시호는 중추를 억제하고 석고는 순환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양방의 해열제와 한약을 대응시키기는 정말 힘들지만, 그래도 억제한다는 면에서는 양방의 해열제는 마황보다는 시호나 석고와 가깝지 않을까 생각된다. 더불어 태양병 소양병 양명병을 다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태양병: set point에 다다르기 전에 chills와 fever가 동시에 나타나는 구간→ 마황탕(보험한약으로는 갈근탕이나 대청룡탕을 생각해볼 수 있다)
B  소양병: set point에 다다르고 나서 체온이 set point 위아래로 오르내리면서 fever와 chills가 따로 나타나는 구간→ 소시호탕
C  양명병: set point이상이 되면서 fever와 sweating이 동시에 일어나는 상태→ 백호탕

결론적으로
상기 원장님이 제시한 발한이 되어야 해열이 된다는 가정은 아직은 의문이 든다. 근거로만 본다면 발한은 기준온도가 내려가면서 결과로서 생기는 현상이다. 그렇다면 인삼이 固表하기 때문에 해열에 방해된다는 의견도 이해하기 힘들다. 또한 상한론에서 인삼은 진액보충의 의미가 강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오한발열이 동시에 나타나는 태양병의 경우는 소시호탕이 적응증이 될 수 없음은 당연하며 마황탕류(보험한약으로는 갈근탕이나 대청룡탕)가 적응증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상한론의 내용을 어느 정도 받아들인다는 가정 하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발열환자의 경우 set point에 다다르기 이전의 환자들을 쉽게 볼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소시호탕을 쓸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필자의 글(보험한약 임상사례 14편)에서 소시호탕이 양방의 해열제처럼 고열에 보편적인 해열효과를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면 분명히 잘못되었으며 이 글을 통해서 정정하고자 한다.

*필자의 글에 코멘트를 해준 춘천 봄내한의원 장혜정 원장님께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이 글을 보면서 보험한약 임상사례 14편, 54편, 69편도 함께 참고 부탁합니다.

이준우 / 경기 탑마을경희한의원 원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