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의사 전회원 투표 철회에도 회원들 “우려 해소되지 않아”
상태바
통합의사 전회원 투표 철회에도 회원들 “우려 해소되지 않아”
  • 승인 2020.08.24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춘호 기자

김춘호 기자

what@mjmedi.com


회원들 “현 정책상황에서 비현실적인 목표로 보여…통합의사보다 의료기기 사용 우선”

최혁용 회장 내부통신망 통해 투표 철회 선언 “숙의와 토론, 대의원총회 뜻 묻겠다”

[민족의학신문=김춘호 기자] 통합의사 추진과 관련 최혁용 협회장이 지난 19일 한의사내부통신망을 통해 본인이 공고한 전회원 투표를 철회하겠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최 회장은 회원투표를 대신해 숙의와 토론을 통해 시도지부장들의 의견을 모으겠다. 그리고 위의 정책 추진에 대해 대의원총회의 뜻을 묻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부 회원들은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모양새다.

A 회원은 이번 투표철회는 최혁용 회장이 담화문(관련기사 https://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51286)에서 이야기한 시도지부장과 대의원들의 뜻을 존중하여 이번 일을 추진한 것에 대한 잘못을 인정하고 철회를 했다고 보여지지 않는다계획한 대로 투표가 진행됐을 경우 반대로 결과가 나올 것 같아 어쩔 수 없이 작전상 후퇴를 한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의 통합의사라는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 현 정부가 생각하는 지역의사나 공공의료인력은 일반의 개념이 아니다감염내과, 소아외과, 산부인과 등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은 의사를 말한다, 최 회장이 생각하는 단순 의료인력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어떻게 한의대생 및 기존 한의사가 추가교육을 통해 수련병원의 전문수련교육을 거치지 않은 지역-공공의료 의사인력을 만든다는 소리인지 알 수가 없다정부가 원하는 지역-공공의료 의사인력이 단순하게 한의대생 및 기존 한의사가 추가교육을 통해 이루어 질수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했다면 번지수를 잘못 찾은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덧붙여 “‘다수의 한의대생이 의대 복수전공 후 의사면허도 받는 경우에는 기존 면허자의 구체적인 경과조치가 가시권에 들 때 회원투표를 통해 회원의 뜻을 여쭙겠다는 말은 한의사 제도를 없애겠습니다고 들린다고 우려했다.

B 회원은 최혁용 회장의 최근 행보에 대해 우려한 부분은 합리적인 공론화 없이 막무가내로 일을 추진했다는 점이라며 앞으로 회원을 존중하면서 정상적인 공론화 과정을 충분히 수행할지 믿음이 가지 않는다. 한의사가 통합의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지금의 정책상황에서는 비현실적인 목표로 보인다고 밝혔다.

C 회원은 “(투표를 철회했다고해서)우려했던 부분이 해소된 건 아니다관련해서 어떤 회무를 추진할지 불안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통합의사보다는)의료기기 사용이 가장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의료기기 사용이 된다면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일원화의 흐름으로 갈 것이라며 앞으로의 집행부는 의료기기 사용에 가장 집중해야 된다. 의료기기만 된다면 한약이나 한의학의 위상도 저절로 정립되리라고 본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투표 철회는 한의협이 지난 3일 한의협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한의협이 한의사가 도구 등의 제한 없이 보편적 의료가 가능한 의료인이 되기 위해서는 교차교육과 교차면허를 통한 점진적인 의료일원화를 추구해야한다고 주장한 것에서 시작됐다.

이후 6포스트 코로나19, 한의사 한의대를 활용한 의사인력 확충 방안국회 간담회를 주관했고 이 자리에 참석한 회원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민형배 의원은 성급하지 말라고 충고했다.

12일 최혁용 회장은 기존 면허자에 대한 경과조치 마련을 전제로 한의학의학 통합교육을 이수한 한의사를 지역공공의료 의사 인력으로 활용하는 정책 추진에 대한 찬/반 투표를 발의했다.

투표가 발의되자 회원들은 구체적 대안 및 전문가 논의 없고 그럴듯한 구호만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고 한의협 명예회장단을 비롯해 서울시한의사회, 부한메디포럼 등에서 우려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한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한의협의 회무에 지지한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