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宗損益의 內局日記 인용에 대한 연구
상태바
醫宗損益의 內局日記 인용에 대한 연구
  • 승인 2021.05.22 0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한기춘, 서정철, 최순화

mjmedi@mjmedi.com


임상 한의사 3인이 연구한 황도순, 황도연(82)

Ⅰ. 서론

<醫宗損益>에는 <內局日記>에서 해당 부분을 인용하였다고 출전을 밝힌 부분이 4번 나온다. 필자는 원출처를 확인하기 위해 <內局日記>, 즉 內醫院에서의 醫藥 기록인 <藥房日記>를 조사하였으나 英朝 부분은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惠庵이 인용한 <內局日記>에 해당하는 내용의 진위에 대한 의구심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1)

이번 호에서는 <醫宗損益>의 <內局日記>에서 인용한 부분을 <朝鮮王朝實錄>과 <承政院日記>에서 원문을 찾아 대조하여 조사한 내용을 卷次순으로 정리하여 밝히고자 한다.

 

Ⅱ. 본론

1. 六味地黃丸(卷之二 丑集 五臟 腎病虛實)

“英廟朝丙戌, 賜名萬全湯<內局日記>”

 

2. 腎瀝湯(卷之六 巳集 風門 暴瘖)

“英廟朝丙戌, 進 御湯劑, 加鹿茸遠志, 各一兩, 人參附子, 各五錢, 純廟朝癸亥, 東朝, 微患右部之麻痺, 去黃芪五味子, 减磁石玄參甘草地骨皮, 加獨活萆薢橘皮白朮, 各一兩, 乾薑七錢, 秦艽五錢半, 人參二錢半<內局日記>”

 

3. 八味逍遙散(卷之七 午集 火門 潮熱)

“甲寅, 上候, 頭部小癤, 晝夜煩燥, 寢睡不穩, 進御奏效, 詳載內局日記<濟衆>”

 

4. 理中建功湯(卷之八 未集 虛勞門 虛勞通治)

“英廟朝, 進 御湯劑也, 建功二字, 戊寅賜名, 人參初則二錢, 漸加至五錢, 桂枝乾薑各二錢, 陳皮白朮白芍藥白茯苓各一錢, 甘草灸五分, 或加鹿茸砂仁白豆蔻附子, 暑加香薷白扁豆, 氣滯加香附子, 頭痛加半夏天麻. ○自丁丑至丙申, 所 進, 幾至萬貼<內局日記>”

 

Ⅲ. 고찰

內局은 조선시대 內醫院의 별칭으로 內藥房, 藥房, 藥房, 藥院 등으로도 불렸다. <藥房日記>는 왕실의 진료를 맡아 본 內醫院의 업무를 수록한 일기로 현재 남아있는 <藥房日記>는 憲宗 8년(1842)과 哲宗 년간(1850~1863)의 기록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필사본 10책이 소장되어 있다.

<藥房日記>는 內醫院에서 매일의 업무 내용을 기록한 官廳日記의 하나인데 內醫院의 인사 내용과 업무를 정리한 일기면서 왕실의 진료 기록도 수록되어 있으며, 問安은 통상 국왕, 대왕대비, 왕대비, 중궁전의 순서로 이루어졌다.2)

그림 1. 理中建功湯 賜名(朝鮮王朝實錄)
그림 1. 理中建功湯 賜名(朝鮮王朝實錄)

 

<藥房日記>는 <承政院日記>3) 인조 15년(1637)에 나오는데 “永崇殿親祭罷後, 藥房三提調問安. 答曰, 知道. 藥房日記”라고 되어 있고, <朝鮮王朝實錄>4)에는 仁祖 26년(1648)에 “藥房提調趙絅, 都承旨金南重等退而啓曰 "臣等考諸藥房日記, 則曾在乙酉歲,……”라고 나온다. <內局日記>는 <承政院日記> 효종 5년(1654)에 나오는데 “以伊川圍籬安置內官狀啓, 傳于政院曰, 前日下去醫官, 還爲下送, 使之及時治療. 內局日記”라고 되어 있고, <朝鮮王朝實錄>에는 <內局日記>가 나오지 않는다.

<醫宗損益>은 <濟衆新編>을 많이 참조하였지만 <內局日記>는 <濟衆新編>5) 卷之一 火門 潮熱의 八味逍遙散에 1번만 나오는데 “甲寅 上候頭部小癤 晝夜煩燥 寢睡不穩 進御奏效 詳載內局日記”라고 나온다. <醫宗損益>은 이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六味地黃丸에 대하여 <醫宗損益>에는 “英廟朝丙戌, 賜名萬全湯<內局日記>”라고 나오는데 <朝鮮王朝實錄>에는 기록이 없고 <承政院日記> 영조 42년(1766)에는 “上曰, 藿香正氣散停止, 加味地黃湯, 依前煎入, 可也. 出榻敎 上曰, 地黃湯之名俗矣, 予當賜名矣. 內局諸臣, 以監煎事先退. 上曰, 頃年己卯, 理中湯, 特賜名建功矣。至今收效, 專由於此, 今者所進地黃湯, 材料俱備, 於予當劑, 此乃一時之名, 其效長久, 宜乎定名。吁嗟望八, 其豈爲身? 此誠爲宗國爲沖子也. 其名不可俗也, 此亦代八味元矣. 特賜名曰, 萬全湯, 局方知悉.”이라고 나온다. <承政院日記>에 의하면 萬全湯이라고 하사한 약은 六味地黃丸이 아니라 加味地黃湯였던 것인데 이것이 惠庵의 실수인지 <內局日記>의 오류인지 實錄의 誤記인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腎瀝湯에 대하여 <醫宗損益>에는 “英廟朝丙戌, 進御湯劑, 加鹿茸遠志 各一兩, 人蔘附子 各五錢……<內局日記>”이라고 나오는데 <朝鮮王朝實錄>에는 기록이 없고 <承政院日記> 영조 42년(1766) 3월 28일 기록에는 “泰遠奏曰, 建功湯, 今夕爲二十五貼, 明日則腎瀝湯進之宜矣. 上曰, 理中建功湯, 自明日停止, 腎瀝湯前方, 加遠志鹿茸各一兩煎入事.”라고 나온다. 그런데 여기에는 “遠志鹿茸各一兩”은 있으나 <內局日記>의 “人蔘附子 各五錢”은 보이지 않는다. 한편 <承政院日記> 영조 46년(1770) 기록에는 “上曰, 今則進御腎瀝湯, 可乎? 諸醫曰, 然矣. 上曰, 建功湯, 自明日停止, 腎瀝湯本方中, 減川芎, 加人蔘五錢, 白朮鹿茸各一兩, 附子五錢煎入.”이라 하여 “減川芎, 加人蔘五錢, 白朮鹿茸各一兩, 附子五錢”이 나오는데 <醫宗損益>에서 인용한 <內局日記>의 기록이 영조 42년과 영조 46년 實錄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腎瀝湯에서 純廟朝癸亥(1803년)에 東朝의 麻痺 관련 기술은 순조 3년(1803) <承政院日記>에 나오는데 “龍輔曰, 大王大妃殿進御腎瀝湯當否, 累日日次與內局諸醫及方外醫官, 爛熳商議, 昨日日次, 始議定矣. 本方中去黃茋五味子, 減磁石七錢, 玄蔘七錢五分, 甘草五錢, 地骨皮二錢五分, 人蔘加二錢五分, 加獨活萆薢白朮橘皮各一兩, 乾薑七錢, 秦芃五錢,……”이라고 되어 있으며 <內局日記>와 처방 내용이 대동소이하다.

八味逍遙散에 대하여 <醫宗損益>에는 “甲寅, 上候, 頭部小癤, 晝夜煩燥, 寢睡不穩, 進御奏效, 詳載內局日記.<濟衆>”라고 나오는데 <朝鮮王朝實錄>에는 기록이 없고 <承政院日記> 현종 15년(1674)에는 “藥房再啓曰, 伏聞醫官所傳之言, 中殿症候……不可遽用攻利之劑, 姑先以八味逍遙散元方.”이라고 나오는데, 현종 15년이 甲寅은 맞지만 頭部小癤과는 관련이 없고, 더구나 왕이 아니라 中殿의 症候에 대한 처방으로 <內局日記> 원본을 찾을 수 없어 정확한 것은 알 수가 없다.

理中建功湯에 대하여 <醫宗損益>에는 “英廟朝, 進 御湯劑也. 建功二字, 戊寅賜名.”이라고 나오는데 <朝鮮王朝實錄> 영조 34년(1758) 12월 21일에는 “上曰, 此理中湯之功也. 賜名理中湯, 曰理中建功湯.”이라고 나온다(그림 1). 그리고 <承政院日記> 영조 34년 12월 25일에는 “上曰, 氣似廻矣, 湯劑加建功二字,……”라고 나오는데(그림 2) <內局日記> 기록과 일맥상통한다.

그림 2. 理中建功湯의 建功二字(承政院日記)
그림 2. 理中建功湯의 建功二字(承政院日記)

 

현재까지 <內局日記>를 인용한 한의서는 <醫宗損益>과 <濟衆新編> 외에는 거의 없다. <醫宗損益>도 <內局日記>를 인용하였지만 정작 <醫宗損益>의 引用諸書나 <濟衆新編>의 引用諸方에는 <藥房日記>나 <內局日記>가 나오지 않는다.

추후 英祖와 純祖 시대 부분이 나오는 <內局日記>를 발굴하여 <醫宗損益>이 인용한 부분의 실체를 확인하는 연구가 기대된다.

 

Ⅳ. 결론

<醫宗損益>의 <內局日記> 인용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醫宗損益>에는 <濟衆新編>의 <內局日記> 치험례 1건 외에 3건이 추가로 수록되어 있다.

2. <醫宗損益>에서 인용한 <內局日記> 치험례는 <朝鮮王朝實錄>과 <承政院日記>에서 유사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惠庵, 醫宗損益, 필자 소장.

2. 이규근, 朝鮮 後期 內醫院 硏究, 2007,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承政院日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4. 朝鮮王朝實錄(http://sillok.history.go.kr/id/kba_10204006_010).

5. 康命吉, 濟衆新編, 필자 소장.

그림 1. 理中建功湯 賜名(<朝鮮王朝實錄>)

그림 2. 理中建功湯의 建功二字(<承政院日記>)

 

한기춘·서정철·최순화 / mc맥한의원·우리경희한의원·보광한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