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서산책/ 1025> - 『和平製劑之證據』①       
상태바
<고의서산책/ 1025> - 『和平製劑之證據』①       
  • 승인 2022.09.10 0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상우

안상우

answer@kiom.re.kr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동의보감사업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동의보감사업단에서는 동의보감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고 이를 홍보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해왔다. 최근기고: 고의서산책


초창기 제약산업 보호와 登錄商標  

  철침으로 제책한 얇은 간이책자임에도 불구하고 표지에 섬세한 약초 그림을 동판화로 새겨 넣어 장정한 특별한 책이다. 부제로는 ‘男女健康必携’라는 말이 달려 있고 표지 중앙에 장방형 외곽선을 둘러친 제첨부에 예서체로 ‘和平製劑之證據’라고 쓰여 있다. 그 옆에 작은 글씨로 한글서명이 병기되어 있다. ‘화평졔뎨의 증거’

 ◇ 『화평제제지증거』
 ◇ 『화평제제지증거』

 표지 이면에는 1면을 3/1로 분할해서 위쪽에는 ‘僞造藥防禦/위죠약방어’란 문구를 배치하고 중앙에 鋸齒가 달린 원형 마크에 영문자를 새겨 도안한 상표가 붙어있다. 마크의 외곽선조에 내접하여 원형으로 배열해 놓은 백문으로 새겨진 영문자를 판독해 보니 ‘REGISTERED MARK HAPYENGTANG SEOUL. KOREA.’라고 새겨져 있다. 이는 분명 등록상표를 디자인하여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진품임을 보증하는 상징적인 표지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동심원의 가운데 그림이 하나 있는데, 무심히 살펴볼 때는 무궁화에 제약사명을 새긴 것이라 여겼다. 하지만 흐릿한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니 5조각 꽃잎 중앙 花芯에 ‘和’자를 새겨 넣고 작은 꽃술들을 방사상으로 도열시킨 모습이 굵은 수술을 세워서 그리는 무궁화와 다르다. 이황실을 상징하는 오얏꽃을 그린 것이다.

  이화문은 한일병합 이후 이왕실로 전락한 왕실의 상징으로 쓰인 문장이다. 문양 상단부에 京城和平堂이라고 새겨 社名 앞에 경성을 붙여 표기했다. 아마도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통치와 규제를 받는 입장이어서 조선이란 국호를 표방하지 못하고 제조판매처인 화평당의 소재지 경성을 사명 앞에 붙여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고어가 있어 부득이하게 화면캡처로 대신합니다 -편집자 주-

  당시 이미 이른바 유명상표나 대중적으로 잘 팔리는 매약제제를 흉내 내어 염가로 판매하는 유사제품이 횡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자사의 이 제품을 구매하려는 신사숙녀 모든 이로 하여금 위품을 피해 진품을 구매하는 요령을 숙지하라고 광고한다.

  “이 태양조경환과 자양환을 사실 때에 그 약갑봉피 위에 이 위에 있는 봉함지가 있사오니 이 약을 사실 때에 이와 같은 표지가 없거든 믿지 마시오.” 위 문장은 필자가 현대표기법으로 전환하고 띄어쓰기를 적용해 풀어쓴 것인데, 위에 있는 봉함지라는 것이 바로 앞에서 설명한 원형의 등록상표와 마크 도안을 뜻하는 것이다.

  또 이에 대한 추가설명이 이어져 있는데, “상표에 영서(英書: 영문자를 뜻함.)로 조선 서울 화평당이라 쓰고 한가운데 리화(李花) 속에 화자(和字)를 썼으니 주의하시오.”라고 적혀있다. 이 말을 읽고 나서야 비로소 맨 처음 도입부에서 ‘위조약방어’란 글과 함께 그려진 원형마크에 대한 궁금증을 모두 이해할 수 있었다.

  위조 방지를 위한 등록상표에 대한 주의사항에 이어 청색으로 인쇄한 동판화로 제작된 타원형 초상이 눈길을 끈다. 보통 지위 높은 관료나 학자, 혹은 저술의 작자와 같은 대표인물의 사진초상이 실린 경우가 종종 있다하지만, 이 같은 사례는 좀 이례적이다.

  초상 속 인물은 서양식 관모에 카이저수염을 기른 얼굴인데다 화려하게 수를 놓은 관복에 하얀 셔츠 깃을 세우고 거기에 보우타이를 맨 일제강점기 판사의 법복과 비슷한 복장을 입고 있다. 초상 아래 다음과 같이 적혀있어 주인공이 누군지를 알 수 있다. “和平堂藥房 主人 李應善 小照/ 화평당약방 쥬인 리응션 소조”

  

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 동의보감사업단

안상우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동의보감사업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동의보감사업단에서는 동의보감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고 이를 홍보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해왔다. 최근기고: 고의서산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