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부작용을 알려주세요
상태바
한약 부작용을 알려주세요
  • 승인 2003.03.18 1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TV에서 조금 안생긴(?) 코메디언이 "제가 원래는 안그런데 어렸을 적 한약을 잘못 먹어서…"라는 대사를 몇 번들은 적이 있다.

한의사는 아니지만 한의학과 관련된 업종에 근무하는 사람 입장에서 매우 불쾌한 말이 아닐 수 없다. 한의학을 비하하는 말로 들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 그것이 얼마나 필요한 것인지를 새삼 실감 한다.

한약분쟁이 한창이던 94년도에 신문사에 입사한 기자는 과천 청사 앞으로, 탑골
공원으로 집회장을 뛰어다니며 약사의 한약조제가 얼마나 잘못된 것인가를 알리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었다.

법률적으로 한약은 한의사의 고유 영역이고, 체질에 맞지 않는 한약을 일반인이 먹었을 경우 위해를 끼칠 수 있다.

그 때 기자뿐만이 아니라 한의계의 많은 인사들이 아쉬워했던 것이 한약을 먹고 부작용을 일으킨 통계나 객관적 자료가 없다는 것이었다.

국가에서 의료와 관련해서 면허제도를 두고 독점적인 권한을 법률로 인정하고 보호하는 이유는 의료행위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 위함이다. 그러나 한의학은 이런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자료가 매우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신문지상 등 언론을 통해 나오는 것은 대부분 어떠한 질병에 한약이 얼마나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지 부작용에 대한 것은 희박하다. 기껏해야 한약재에 중금속·농약이 기준치보다 많이 나왔다는 보도가 고작이다.

보약이라고 해서 모든 사람에게 다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일반인도 이미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좋지 않은 정도가 얼마며,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모른다. 부작용이 어떤지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한의사 직능을 가진 사람만이 한약을 취급해야 한다고 하는 논리는 규제로 받아들여질 뿐이다.

한의학이 국가고시를 통해 자격이 인정된 사람만이 시술할 수 있는 의학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단순히 효능만이 아니라 그 부작용의 실체를 알려야 한다.
자신이 운영하는 한의원이나 병원을 보호하기 위해 쉬쉬하고, 동료들끼리 모였을 때 "이런 경우도 있었다"고 논의하는 수준이 돼서는 안된다. 당장 자신에게 돌아올 불이익보다는 한의학의 장래를 내다보고 부작용에 대한 사례가 중앙으로 집중돼야 한다. 양약과 같이 쥐에게 부자 몇 mg을 먹였더니 몇 분만에 죽더라는 통계로는 한의학의 특성상 큰 지위를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어떠한 이유 때문에 한약을 투약한 사람이 부작용을 일으켰는지 국민에게 알려질 경우 국민은 한의학에서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한의사의 영역을 더욱 존중해주지 않을까?

한약의 부작용이 무시된 채 그저 좋은 것으로만 인정되니 너도나도 한약을 만들어 팔고 있고, 이번에는 아예 한약을 정제나 캅셀로 된 식품으로 만들어 모든 약국과 대충 신고를 마친 업소에서 판매하겠다고 나서고 있는 건 아닌가.

이제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