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 우리과학] 황토
상태바
[우리문화 우리과학] 황토
  • 승인 2003.04.21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생명을 잉태하고 기르는 영원한 母性
독은 제거하고 활력은 불어 넣어준다
'황토' 다시 찾아야 할 소중한 한약재


어린 시절 할머니가 장독대의 항아리 속에서 홍시를 꺼내주시던 기억이 난다. 지금 대도시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황토옹기는 냉장고가 없던 시절 여러 곡물의 저장고로 손색이 없었다.

황토는 본래 독을 제거하는 강력한 작용이 있어 음식의 독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황토로 빚은 옹기는 숨구멍이 있어 '숨쉬는 그릇'이라고 불리는데, 옹기 안에 저장된 음식이 오래되거나 하면 나쁜 기를 밖으로 밀어내 고유의 영양가를 손상시키지 않고, 유지·보존시켜 준다. 따라서 맛을 뛰어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실생활의 감초
황토가 우리 선조들의 실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주요 소재로 사용될 수 있었던 이유는 냉기와 열기를 고루 차단할 수 있고, 습도조절능력이 있어 온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하여 습도를 낮추어주고, 습도가 낮아지면 머금었던 습기를 뿜어주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또한 황토의 미립자 틈틈이 통풍이 되어 통풍효과가 뛰어나고,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이유에서다.

황토로 지은 집은 그 구들 속에 우리 조상들의 슬기와 과학이 나타나는데, 황토방은 대량의 원적외선을 비축하여 인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할 수 있어 질병의 치료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는 여러 가지 경험방이 전해져 내려온다.

조선의 과학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킨 세종대왕은 침 뜸 약으로도 치료가 안 되는 환자들을 돕기 위해 국비로 한증막을 짓는 한편으로 자신도 전용 황토방을 마련해 건강이 좋지 않을 때 수시로 드나들었다고 전해진다. 당시 한증막은 도자기를 굽는 가마와 같은 진흙집이었는데, 황토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조선조식 질병치유술이었던 셈이다.

한의학의 중요한 본초
황토가 한의학적으로 질병치료에 응용된 예는 고의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명대 이시진의 '본초강목' 土部에서는 흙의 종류를 61종으로 나누어 놓았는데, 여기에는 맨 흙을 약재로 쓸 수 있는 것들과 흙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옹기와 기와 등을 갈아서 그 가루를 약재로 쓰는 경우도 포함시키고 있다. 그뿐 아니라 토벽이나 부엌바닥의 흙까지도 약성이 있다고 보고, 그 임상례들을 수집하여 기록하고 있다.

물론 우리 선조들이 남긴 향약집성방의 石部와 동의보감 土部 18종에도 황토에 관한 기록들이 보이는데, 이는 예로부터 황토가 본초의 하나로써 한의학에서 중요시되었음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현대과학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도 황토의 미생물학적 조성은 황토 한 스푼에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들어있다고 한다. 황토 속에 있는 이끼, 곰팡이, 방사균, 세균 등의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고, 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물들은 식물의 영양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황토 속에는 많은 효소들이 들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노화를 억제하고 젊음을 유지시켜주는 '카탈라아제', 벼나 보리농사에 유익한 '사카라제', 흙 속을 정화시키는 프로테아제 등이 바로 그것이다.

생명의 물 '地漿水'
동의보감에는 "황토 땅을 파 구덩이를 만들어 그 속에 물을 부은 다음 저어서 흐리게 하였다가 조금 기다려 맑아진 물을 떠 마시는데, 이를 '地漿水'라 한다"고 기록돼 있다.

독버섯을 먹고 중독이 되었을 때, 약을 지나치게 많이 먹었거나 중독이 돼 번민해서 죽게 될 때, 살구를 잘못 먹어서 杏仁毒에 올라 죽게 생겼을 때 이 지장수를 먹으면 낫는다는 것이다.

지장수는 무수한 생명물질이 들어 있어 건강생활에 도움이 되며, 채소나 과일에 잔류된 농약 독을 씻어내는데도 일반화학세제보다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물로 설거지를 하게 되면 하수구로 나가서 다른 공해물질을 제독시켜 하수오염방지에도 크게 작용한다.

특히 한약을 달일 때 이 지장수를 사용하면 약 기운이 더욱 강하게 작용한다고 한다.

황토가 물과 함께 있을 때는 산소흡착력이 높아져 수중 용존산소량을 늘려주는데, 일반 수돗물의 용존산소량이 7.9ppm인데 비해 지장수는 용존산소량이 8.4ppm으로 훨씬 높다는 보고도 있다.

장마가 졌을 때 황톳물에 붕어며 잉어며 민물고기들이 함께 휩쓸려 내려오는 이유 중 하나도 바로 이 수중 용존산소량이 높아지기 때문이란다.

가장 좋은 '통치방'
황토요법은 생명체에 병이 들었을 때 이것을 진단해내는 능력이 없는 무지한 상태에서 가장 좋은 '통치방'으로 쓰였다.

그래서 농작물에 병이 들어도 황토를 뿌리고, 바닷물에 병이 들어도 황토를 뿌리고, 개나 닭 등 가축들이 몸에 병이 들었을 때 황토에서 뒹구는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 일 것이다. 굳이 과학적으로 그 원인을 분석하지 않더라도 일단 사용해 보고 부작용이 없다면 손해볼 것은 없기 때문이다.

황해에는 적조가 생기지 않는데, 남해에 유독 적조현상이 빈발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황해에는 해마다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덕분에 진흙의 자정작용을 받기 때문이란다.

적조는 동물성 플랑크톤이 바닷물의 3% 이상을 차지하는 인(P) 성분 등을 과량섭취, 이상증식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런데 황토는 플랑크톤의 먹이인 이 인(P) 성분을 흡착하는 탁월한 효과를 보여, 플랑크톤의 먹이사슬을 깨버린다. 뿐만 아니라 황토에서 나오는 풍부한 원적외선이 바다에 생기를 불어넣어 바닷물을 정화시킨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종 농약으로 인한 중금속 유기질 수은 구리 카드뮴의 토양오염을 객토작업을 통하여 우리의 토양에 생명을 불어넣어 줄 수 있다.

원적외선은 물체에 닿는 순간 그 내부로 침투하여 그 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활동을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로 전환돼 외부로 열을 방출하거나 주변 물체의 분자구조까지 활성화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과학적으로 성장하는 쥐에게는 성장을 촉진해 주고,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들어서는 원적외선이 숙성 온열 자정 건조 등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일명 '기적의 광선'으로 불릴 정도다.

방치되고 있는 약재 '황토'
그러나 황토가 현대에 와서는 과거처럼 우리 생활에 많이 활용되고 있지도 않을뿐더러 마음놓고 황토를 사용할 수도 없게 되었다.

요즈음 급부상하고 있는 황토요법들은 그야말로 황토의 예찬에 불과하다. 황토 속의 다양한 미생물의 존재는 황토가 살아있다는 증거이며, 오염되지 않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황토가 우리 생명체에 좋은 작용을 하고, 이를 많이 사용하자는 이야기가 있을 뿐이지, 황토를 어떻게 보존하고, 점차 오염돼 가고 있는 황토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의 입지조건에서는 황토라는 자원을 실생활뿐만 아니라 의학적으로도 효과적인 활용을 모색하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요즈음에 떠도는 각종 황토요법들은 자연요법을 주장하는 많은 민간단체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을 뿐, 이에 대한 한의사들의 관심과 기여도는 그다지 크지 않다는 점은 한의학계가 한번쯤은 깊이 생각해 볼 일이다.

이예정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