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락 교수가 쓰는 주의해야 할 한약재들(4)
상태바
김인락 교수가 쓰는 주의해야 할 한약재들(4)
  • 승인 2004.04.23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껍질채 유통해야 향과 약효 유지된다

김인락(동의대학교 한의대 교수)

현행 법률상 한약재 검사는 모두 공정서를 기준으로 시행하게 된다.
공정서는 3가지로서 대한약전 8개정과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2002년판과 공정서미수재한약재규격서이다.

크게 2가지를 검사하는데 하나는 유효성이고 다른 하나는 안전성이다. 유효성에서는 基源과 品質 2가지가 주를 이루는데 무엇보다도 기원이 중요하다.

그런데 관행상 오래동안 사용되어온 것중에는 공정서와 다르게 유통되는 것이 있으니 대표적인 것으로 방향화습약의 사인, 백두구, 소두구, 초두구가 있다. 현행 공정서상으로는 사인과 백두구, 소두구는 모두 열매(Fructus)로 규정하고 초두구는 씨앗으로 규정한다. 중국약전도 이와 동일하다.

복숭아나 살구, 호도 등은 씨앗과 열매껍질사이에 과육이 있지만, 이들 약들은 씨앗과 과피사이에 과육이 없다. 따라서 열매라 함은 씨앗과 이를 싸고 있는 과피뿐이다. 열매를 사용하는 益智(과거에는 益智仁이라 하였으나 열매이므로 益智로 명칭이 개정되었다)나 草果의 경우도 동일하다. <표1 참조>

이들은 모두 겉으로 보기에 3줄의 둔한 능(稜)이 있고 아래쪽은 과병이 붙었던 흔적이 있다. 과피는 얇고 가벼우며 섬유성이다. 안쪽은 얇은 막에 의해 세로로 3실로 나누어졌고 각 실 중에는 씨가 여러개 들어있다. 구분되는 것은 열매의 크기와 씨앗의 크기와 갯수 등으로 <표2>와 같다.

■ 백두구 ■

백두구의 경우 열매 껍질이 있는 그대로 유통하다가 사용할 때 껍질채 깨뜨려 사용해야 한다. 이는 열매껍질도 약효가 있고, 껍질이 없으면 방향이 쉽게 휘발하여 약효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씨앗은 매우 맵고 강열한 냄새가 장뇌와 닮았다.
현재 유통되는 백두구의 문제점은 껍질이 벗겨져 있어 향이 매우 약하다.

그리고 씨앗이 하나하나 분리되어있는데, 씨앗만으로는 사인, 소두구 등과 구분이 매우 어려우므로 다른 것이 혼입될 여지가 많다.
더구나 씨앗을 벗기는 과정에서 비용이 들고, 감량이 나므로 약효와 비용면에서 모두 손실이 난다.

■ 사 인 ■

사인의 경우도 백두구와 마찬가지로 열매껍질도 약효가 있으므로 열매의 껍질이 있는 그대로 유통되다가 사용할 때 껍질채 깨뜨린다.

씨앗은 맵고 조금 쓰며, 청량감을 준다.
사인의 仁자 때문에 씨앗으로 알기쉬우나 최초로 수록된 책은 唐의 藥性本草이고 원명 은 縮砂밀이었다.

현재 유통되는 사인의 문제점은 껍질이 벗겨져 있거나, 때로는 씨앗이 하나하나 분리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향이 날아가 버리고, 씨앗만으로는 감별이 어려워 사인이 아닌 것이 혼입될 여지가 있다.

■ 소두구 ■

소두구는 주로 향신료로 많이 사용하는데, 열매의 껍질이 붙은 채로 유통하다가, 사용할 때 껍질을 벗겨 버리고 씨 앗만 깨뜨리고 사용한다.

백두구나 사인은 껍질에 약효가 있지만 소두구는 껍질에는 약효가 없다.
다만 향을 보존하고 다른 약재와 감별을 쉽게하기 위해서이다.

소두구 껍질을 벗기면 씨앗덩이는 쥐똥인 것으로 착각할 정도로 닮았다.
씨앗은 맵고 조금 쓰며, 특이한 냄새가 있다.

현재 유통되는 소두구의 문제점은 미리 껍질이 벗겨져 있고, 씨앗이 하나하나 분리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향이 보존되지 않으며 다른 것이 혼입될 여지가 많다.

■ 초두구 ■

초두구는 열매의 껍질은 벗기고 씨앗덩이채로 유통, 보관 하다가 사용시 씨앗덩이를 깨뜨린다.
한국과 중국의 공정서에는 씨앗덩이가 지름 1.5cm 이상인 것으로 되어있다.
하지만 이보다 작은 것들이 유통되고, 또한 깨뜨려져서 하나하나 분리되어 있다.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