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락 교수가 쓰는 주의해야 할 한약재들(5·中)
상태바
김인락 교수가 쓰는 주의해야 할 한약재들(5·中)
  • 승인 2004.04.23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코르크층 제거후 油層두께로 등급 매겨

■ 桂皮(中) ■

2. 상한론의 계피류

상한론의 주요 판본은 敦煌本, 唐本, 高繼沖本, 康平本, 宋本, 金궤玉函經, 康治本, 注解傷寒論 등 8종이다.

1) 돈황본
敦煌本에는 桂枝가 수록되지 않았다.

2) 당본
唐本은 孫思邈이 682년 高宗때 지은 千金翼方에 수록된 것이다.
당본초가 나온 지 25년 뒤이며 여전히 고종의 治下였으므로 당본초의 계피 정의를 그대로 수용하였을 것이다.
唐本에서는 당귀사역탕에서만 桂心이고, 나머지 모든 처방에는 桂枝로 되어있고 去皮란 주문은 없다.
당귀사역탕만 현재 기준의 계심을 사용하고 다른 처방에서는 계지를 사용할 이유가 없으며, 당본초에서와 같이 계지는 계심이나 육계와 동일하다고 추정된다.

3) 고계충본
968년의 高繼沖本은 992년에 반포한 태평성혜방 100권 중 권제8에 수록되었으며, 傷寒三陰三陽應用湯散諸方에 50개 처방이 있다.
이중 계지가 포함된 처방은 7개, 계심이 든 처방은 12개이고, 계지는 모두 전반부에 나오며, 계심은 모두 후반부에 나온다.
이때에는 아직 송의 교정을 받기 전이므로 당본초에서와 같이 계지는 육계나 계심과 같음을 알 수가 있다.

4) 강평본
康平本은 1060년 일본 國醫 丹波雅忠이 소장한 본이며 모두 桂枝去皮로 되어 있다.
1057년 송의 校正醫書局에서 계지, 육계, 계심은 같으며 去皮한 것이라 교정한 뒤이므로 계지거피란 육계거피와 같고 계심을 의미한다.

5) 송본
1065년 校正醫書局에서 大字本으로 출간하였으나 수요가 많아지자 1088년에 浙路小字本을 발간하였고, 1개월 뒤 國子監小字本을 발간하였다.
4개처방 계지가갈근탕, 계지이마황일탕, 복령감초탕, 계마각반탕에서만 거피하라는 주문이 없는데, 교정을 하면서 去皮를 누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농본초경을 교정한 뒤이므로 계지는 육계, 계심과 같고 이를 거피하므로 현재의 계심에 해당한다.
3번씩이나 출간된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으므로 상한론에서 ‘계지거피’로 확립된 것은 이때부터이다.

6) 금궤옥함경
金궤玉函經은 1066년 교정의서국에서 교정한 것으로서 계지에 去皮하라는 주문을 다는 대신, 卷第七 方藥포制에 ‘桂枝削去皮, 用裏黑潤有味者, 爲佳’라고 규정하여 송본에서 去皮를 누락한 실수를 근원적으로 차단하였다.

7) 강치본
康治本은 일본에서 손으로 베껴 쓴 것인데 처방 50방이 수록되고 여기에서는 모두 桂枝去皮로 되어 있다.

8) 주해상한론
1144년의 注解傷寒論에서도 모두 桂枝去皮라 하였다.
이상을 정리하면 <표2>와 같다.
당본상한론과 고계충본에서는 계지와 계심이 같고, 강평본, 송본, 금궤옥함경, 강치본, 주해상한론에서는 계지거피라 하여 송본부터 계지거피가 표준이 되었으며, 실제 사용한 것은 계심이었다.

3. 뇌공포자론

포자법을 집대성한 雷公포炙論에서는 얇은 것은 사용하지 말고 자색이 짙은 것을 사용하며 皮를 없애고 心中의 맛이 매운 것을 사용하며 16냥에서 크고 두껍고 자색나는 것 5냥만 취한다고 하였다.
이에 의하면 제거해야 하는 부분은 11/16이다.

육계를 횡절하면 육안으로 드러나는 것은 3층으로 구분되는데 바깥쪽에 Cork층이 있고, 이보다 안쪽에 한층이 더 있고, 가장 안쪽에 자색빛이 진하며 기름이 베어나오는 층이 있다.

11/16을 제거하고 나면 가장 안쪽층에 해당하므로 皮를 제거한다는 것은 Cork층 뿐아니라 이보다 안쪽층도 제거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베트남의 육계생산지인 Yenbai에서는 가장 안쪽층 油層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등급을 구분한다.

두께가 3mm 이상인 것 중 1등급은 유층의 두께가 전체의 45% 이상이고, 2등급은 35%, 3등급은 25% 이상이다.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1기 피부와 2기 피부는 거의 연속된 석세포환층으로 구별되고, 환층의 안쪽에는 油細胞, 점액세포 및 미세한 수산칼슘의 침상결정을 지닌 세포가 있고 유세포에는 전분립이 있다.

석세포층 안쪽에 유세포가 많이 분포하므로 색깔이 자색으로 가장 짙고 油性이 풍부하여 계심이 된다.
석세포층을 중심으로 밖과 안쪽이 무게 비중이 같다고 가정한다면, 뇌공포자론에서 계심이 무게로 5/16라 함은 유층두께가 35%이상을 차지하는 2등급이거나 3등급중에서 상등품에 해당한다.

수피류한약재 17종은 모두 Cork층을 제거하지만 오로지 계피만이 해부학적으로 특이하여 Cork층 안쪽에 석세포층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안쪽에는 油性이 풍부하고 바깥쪽은 드물므로 석세포층까지 제거해야 한다. <그림6>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