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7] 한의원의 각실 적정 규모와 공간 구성
상태바
[인테리어7] 한의원의 각실 적정 규모와 공간 구성
  • 승인 2004.04.30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7. 한의원의 각실 적정 규모와 공간 구성

■ 소요실의 적정규모 산출 방법

전통 한옥에서 몇 칸 집이라고 할 때, 그 칸의 크기는 상대적입니다. 그 공간에 머무는 사람이 하는 일에 따라 칸의 크기를 달리했습니다. 한의원내 각 공간에 대한 적정규모 산출도 해당 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행위와 동작 그리고 이를 위한 시스템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공간크기를 취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처럼 규모를 결정하는 요소로 사용목적에 따른 실(室)과 사용자 및 가구 등과 같은 수량적 측면들이 있을 것이며, 이를 소요 면적과의 관계로 파악할 때 비로소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이 나오게 됩니다. 구체적인 바닥 면적과 그 안에서 수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한의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 등에 대한 검토가 디자인의 전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각 공간규모는 어느 정도여야 한의원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까? 한의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수용능력과 바닥면적이 결정될 것입니다. 그 결정순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한의원 시설을 이용하는 수요정도 즉 잠재적인 환자 수가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한다.
2) 수요가 실제 어떠한 빈도로 발생하는가를 파악한다.
3) 환자가 한의원 시설을 이용하는 시간을 파악한다.
4) 환자가 만원일 때 다음에 도착하는 환자가 어떠한 행동을 취하는가를 조사한다.
5) 환자가 어느 정도의 시설을 이용하면 바람직할 것인가의 처리능력을 예상 결정한다. 이 결정사항은 시설운영을 좌우하며 한의원의 경우 경영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다.
6) 환자의 시간적 변동이나 환자의 유형, 시설 이용시간의 분포를 고려하여 원활한 시설의 운용이 되도록 적절한 규모를 결정한다. 이때 환자나 물품의 수용능력을 수량적으로 표시하며 해당시설에 대해 구체적인 치수나 면적으로 표시한다.

■ 소요실의 적정규모 산출 실제

1) 한의원 소요실 적정규모 산출표
그간의 현장 경험과 이론적인 기준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표를 하나의 사례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한의원 각 실에 대한 구분은 관례를 따랐고, 비고 난은 현장의 경우를 반영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평균면적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입니다. <표 참조>

이 표의 수치는 반올림을 하여 정수로 표시한 것이고, 30평형대의 한의원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기타 부속실과 특수 크리닉의 경우는 추후 각 실별 계획과 치수계획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2) 조닝계획의 원칙
단위공간 사용자의 특성·사용목적·사용시간·사용빈도·행위의 연결 등을 고려하여 전체 공간을 몇 개의 생활권으로 구분하는 것을 조닝(zoning)이라 하며, 그 구분된 공간을 구역 또는 존이라 합니다. <그림 1>

조닝계획의 제1원칙은 기능이 같은 것은 가까이 배치하여 같은 생활권으로 구분하고, 다른 것은 멀리하여 분리하거나 독립되도록 배치하는 것입니다. 구역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동선의 혼란을 막을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 2>

3) 조닝계획과 한의원 공간구성
한의원은 원장·간호사·환자, 이 3주체가 활동하는 공간입니다. 그러므로 한의원의 기본 공간구성은 이들 3주체의 활동영역 및 그 특성에 의해 구성되어야 합니다. 여기에 조닝계획의 원칙을 적용한다면, 각 주체들의 동선은 “짧을수록 그리고 분리되어 있을수록” 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한의원의 경우 원장·간호사·환자의 동선이 되도록 짧게 분리되어 설계되어야 하며, 특히 원장과 환자 사이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호사의 동선에도 깊은 고려가 필요합니다. <그림 3>

4) 각 실 배치에 대한 현장의 조언
한의원의 실내계획은 각 실의 특성에 따라 공간배치가 이뤄져야합니다. 예를 들어 탕제실은 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한약냄새와 습한 기운을 감안하여 자연환기가 이뤄지는 창이 면한 곳을 선택해야하며, 치료실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프라이버시를 중시하여 대인접촉이 번잡하지 않는 공간을 택해야 합니다.

이처럼 기능과 효율을 고려한 배치기준으로는 약재창고와 탕제실 만이 아니라, 환자를 가장 먼저 접하는 카운터까지 세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한 후에 설계되어야 원활한 한의원공간으로 태어나게 됩니다. 요컨대 한의원의 환경과 한의원에 머무는 사람들이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비로소 그 한의원다운 공간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계속>

대표집필 김 도 환
아반디자인 대표, 02)323-5592
avanboss@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