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의 임상8체질]체질식의 바탕
상태바
[이강재의 임상8체질]체질식의 바탕
  • 승인 2023.08.12 05: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강재

이강재

mjmedi@mjmedi.com


8체질의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_79

모든 생명체에는 기본적인 본능이 있다. 바로 생존과 번식이다. 생존하려면 영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동물이라면 먹어야 한다. 그런데 자연계의 동물에게는 분별능력이 있다. 무슨 말인가. 코끼리는 풀을 먹고 사자는 고기만 먹는다. 자연 생태계의 먹이사슬 속에서 육식동물 초식동물 잡식동물이 엄격하게 구별되어 있는 것이다.

권도원 선생은 이렇게 생각했다. ‘사람도 그런 식으로 나뉘어 있지 않을까.’ 1)그래서 육식을 해야 할 사람,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되는 사람, 고기도 생선도 여러 가지 잘 먹는 사람, 먹기에 소극적인 사람으로 나누어 보았다. 이것이 바로 체질식의 바탕이다. 하지만 이것은 그가 독창적으로 떠올린 생각은 아니었다.

 

62 논문

체질마다 해로운 음식과 이로운 음식을 나누고 그리고 해당하는 체질에게 생활 속에서 주의해야 할 섭생법을 지정해서 환자들에게 알려준 것은, 권도원 선생이 세계에서 최초라고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권도원 선생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2) 반면에 사상의학의 출발에서는 그런 자료가 없었다는 것이다. 권도원 선생이 196297일에 탈고한 체질침 논문에 아래의 내용이 나온다.3)

Case 1.

(번역) 다음날 환자가 다시 내원하여, 치료 후 한 번도 출혈이 없었으며 먹기도 잘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같은 치료를 시술하고 필자는 소음인에게 맞는 음식과 맞지 않는 음식을 말해 주었다.

Case 5.

(번역) 피치 못할 사정으로 너무 과음을 한 후에 그는 다시 설사를 시작했다. 따라서 필자는 그의 체질에 맞는 음식을 알려주며 조심할 것을 당부했다. 그 후로 약 5일 동안 침 치료를 받는 동안 환자 자신이 만약 자기가 음식을 주의만 한다면 그의 병은 이 체질침 치료로 완치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얻기 시작했다.

아쉽게도 이 논문이 작성되었던 시기에 환자에게 음식지도를 한 실제 자료는 남아있지 않다. 그러다가 염태환 선생이 1967년에 펴낸 동의사상처방집(東醫四象處方集)에 권도원 선생의 자료를 실어놓은 것이, 인쇄된 자료로는 가장 앞선 것이다. 이 중에 Saturna 부분4)을 보자.

당신의 조급한 성품은 건강에 크게 영향합니다. 만사에 한발 후퇴하여 한번 생각하여 보고 행동하는 여유 있는 성품이 요구됩니다. 술은 당신에게 해가 많습니다.

먹으면 해가 되는 음식

찹쌀, 차조, 닭고기, 노루고기, 개고기, 양젖, 감자, 조기(굴비), , 미역, 참깨, 참기름, 겨자, 벌꿀, 사과, 복숭아, ,

먹어서 유익한 음식

, 보리, , 녹두, 배추, 양배추, 오이, 돼지고기, 쇠고기, 계란, 생굴, 청어, 새우, 오징어, 참외, ,

 

최린

기미년의 독립선언서에 민족대표 33인으로 영광스럽게 이름을 올렸지만 이후 변절하였다는 낙인이 찍혀 반민특위의 포승에 묶이기까지 했던 최린(崔麟)이 있다. 그는 1878125일에 함흥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최덕언(崔德彦)이다. 최린은 일제강점기에 보성학교 교장, 천도교 도령, 중추원 참의, 매일신보사 사장 등을 지냈다. 한국전쟁 중에 납북되어 195812월에 평안북도 선천에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동무 이제마 공은 수세보원을 고쳐 쓰던 시기에 함흥에 있을 때 1898년에, 동향(同鄕)인 스물한 살 먹은 청년 최린을 만난다. 그리고 병으로 고생하는 최린에게 약 처방을 알려주면서,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섭생법도 함께 일러준다. 동무 공은 최린을 소음인으로 보았다.

이것이 함께 적혀 있는 종이에는 향부자팔물탕(香付子八物湯)이라는 제목이 선명하게 눈에 띄는데, 이 처방전이 동무 공의 친필이라고 잘못 알려진 적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동무 공이 불러주는 것을 최린이 받아 적은 것이다. 약 처방 쪽보다는, 소략하지만 나는 아래의 두 줄짜리 내용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禁忌 喜樂之心 猪 麵 生冷

所喜 鴈 鴙 狗肉 蜜 糖 甘熟之物

동무 공이 최린에게 알려준 섭생법은 세상을 살면서 희락지심(喜樂之心)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중점이 있다. 식이법은 상대적으로 분량이 적다. 하지만 동무 공이 임상에서 식이법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실례로서 치료와 섭생에서 먹는 음식을 중시했다는 증거로는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한다. 시기적으로도 권도원 선생보다 60년이 앞선다.

 

성운

또 다른 소음인 계문이 있는데, 보건성본 동무유고계소음인(戒少陰人)챕터가 있다.5) 여기에 對診成雲病而言 然少陰人皆然이라고 나와 있다. 보건성본의 번역자인 량병무와 차광석은 실지로 성운병(成雲病)’이라는 병증이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그건 엉뚱한 인식이다. ‘계소음인은 성운(成雲)의 병을 진찰한 것에 대하여 말한 것인데, ‘소음인이라면 모두 그러하다, ‘모두 아래의 계문을 따르라고 한 것이다. 성운이 받은 계문은 1898년에 동무 공에게 처방전과 훈화를 받았던 최린의 것과 비슷한데 분량은 좀 적다.

202342일에 작고한 김주6) 선생은 1997년에 펴낸 성리임상론에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한다.7)이 책을 초()하게 하여주신 은사 성운(成雲) 할아버지와 아버님의 영전에 감사를 드리면서.” 김주 선생이 떠올린 성운 할아버지는 자신의 집안에 초빙되었던 사상의학 선생님이다. 성운 할아버지가 자신의 부친을 가르쳤고 선생은 아버지에게서 배웠다. 내가 김주 선생과 성운 선생에 관한 이야기를 책에 썼다.8) 동무 공에게 진찰을 받고 계문을 받은 성운은 성()이 성씨(姓氏)이고 이름은 외자로 운이다. 그리고 김주 선생의 집안에 와서 사상의학을 가르쳤던 바로 그 성운이기도 하다.

 

사상인식물류

중요한 것은 권도원 선생의 식이법이 공중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북한에 남은 동무유고를 량병무와 차광석이 번역하여 19667월에 보건성에서 펴냈다.9) 여기에 사상인식물류(四象人食物類)10)가 있다. 한두정(韓斗正) 선생은 1941년에 상교현토 동의수세보원을 발간하면서 보유(補遺)에 이와 거의 같은 자료(食物類)를 넣은 바 있으니 출판 시기로는 한두정이 앞선다. 이런 자료들을 중심으로 동무 공 관련 저술에 나오는 음식물을 종합하고 분류하여 표로 정리하였는데, 이 표는 정용재의 논문11)에 있다.

표로 정리하니 음식물이 꽤 많다. 이처럼 사상인식물류는 동무 이제마 공에 의해 직접 연구 정리된 사상인식이법으로, 사상인식이법이 동무 공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위에 염태환 선생이 책에 실은, 권도원 선생의 자료에 나열된 음식들이 상당 부분 사상인식물류에서 유래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물론 약간, 이로운 것과 해로운 것, 혹은 다른 체질 사이로 출입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여기까지 이어온 글의 진행으로 보면 권도원 선생의 세계 최초주장은 다소 과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권도원 선생은 사상인식물류를 참고하면서 동물계의 법칙에 주목했다. 육식동물과 초식동물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점 말이다. 그래서 태양인인 금양체질과 금음체질은 육식을 일절 금지시키고, 태음인인 목양체질과 목음체질에게는 해산물을 제한하는 원칙을 세웠다. 권도원 선생이 조직한 8체질식이법은 그런 원칙 아래에서 동무 공이 남긴 자료를 재배치한 결과물이라고 짐작한다.

이강재 / 임상8체질연구회

 
각주

1) “이와 같은 식품법이 동물계에서는 육식동물, 초식동물 또는 잡식동물 등 종별로 분류되지만 영장으로 불리는 인간에 있어서만은 동종 안에서 8체질로 분류되며, 동물계의 식품법의 엄격성은 인간 8체질 음식법의 엄격성을 시사하기도 한다.” 
   채식만 하는 나라 육식만 하는 국민, 『빛과 소금』 〈173호〉 두란노서원 1999. 8.

2) “8체질론은 세계 최초로 8체질의 음식을 분류하여 30년 전부터 환자들에게 권장하여 왔으며 20년 전인 1974년 명지대학 논문집 제7집에도 발표되었다.” 
   중환자는 무조건 채식해야 하나, 『빛과 소금』 〈110호〉 두란노서원 1994. 5. 

3) Dowon Gwon, 「The Constitutional Acupuncture」 1962. 9. 7. p.27.33. 

4) 염태환, 『동의사상처방집』 행림서원 1974. p.13.14.

5) 국역한의학대계 15, 『동무유고』 해동 1999. 3. 30. p.140

6) 金洲(1936. 8. ~ 2023. 4.)

7) 정용재, 『이제마, 인간을 말하다』 정신세계사 2013. 9. 13. p.376

8) 이강재, 『수세보원 들춰보기』 행림서원 2021. 7. 27. p.80~82

9) 량병무/차광석, 『동무유고(東武遺稿)』 보건성 1966. 7. 

10)〈東武遺稿〉
    四象人食物類
    少陰人宜棗蔥蒜椒蕨芹蜜飴鹽麻油藷黍粘米犬鷄雉明太鰮魚
    少陽人宜瓜菘眞油麥小麥小豆稷菉豆淸泡猪生鷄卵鮃鰕蟹石蟹石花海蔘
    太陰人宜栗茄梨檎菁桔梗雪餹荏油稻粟薏豆泡大豆太菜酒牛鯖明卵
    太陽人宜柿柑櫻獼猴桃菘麵蚌蛤屬

11) 정용재, 「사상인식이법이 8체질식이법의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201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ㅇㅇ 2023-08-12 07:20:39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