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議題化 주도 못하는 한의계”
상태바
“사회議題化 주도 못하는 한의계”
  • 승인 2005.03.11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즉흥적 대응보다는 전략적 접근 필요성 대두
동서양 학문적 차이 부각에도 역량집중 촉구

한의계는 호재와 악재가 빈발하고 있으나 한의학 발전의 계기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오고 있다. 정치·사회적 측면에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분위기, 경제적으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예방의료에 대한 관심의 증대, 문화적으로 고급스러우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의 선호, 전통과 우리 것, 아시아·동양적인 가치에 대한 관심의 폭발 등은 놓칠 수 없는 호재요인으로 평가된다. 유럽에서도 상위 30%는 화학약을 먹지 않는다는 보도가 나올 만큼 한의학의 대외적 여건은 호전되고 있다.

반면 잇따른 불량 한약재 문제, 가격 폭리 문제, CT소송과 감기문제로 촉발된 양의계의 한의학 왜곡·폄하정책 등은 악재요인으로 평가된다.
한의계의 뜻있는 인사들은 호재요인뿐만 아니라 악재요인도 잘만 활용하면 한의학을 홍보함은 물론 한의학의 우수성을 국민의 뇌리 속에 각인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주체적 요인의 부재로 좋은 기회를 놓치고 있다. 불량한약재 문제의 경우 한의사의 윤리적인 책임을 넘어 정부의 역할임을 분명히 하면서 예산의 반영, 직제의 신설 등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또한 촉구하는 수준을 넘어 구체적이고, 조직적, 체계적으로 사회적 의제화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졌어야 했다는 지적도 있다. CT문제나 감기문제도 한의계가 주도적으로 사회적 의제로 만들지 못한 채 국민의 눈에 이전투구로밖에 비치지 못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의계 인사들은 사회의제화를 위한 대책을 주문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들이 주문한 대책들은 국민과의 접촉창구 개설, 인재양성, 기획력 보강방안, 정책집단의 형성, 시스템의 개편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종안 한의협 홍보이사는 국민이 원하는 건강정보를 공급하는 포털사이트의 구축이 가장 시급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현재 한의계 내에는 국민과 한의학을 연결시키는 인터넷사이트가 없어 국민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므로 차제에 한의학 관련 건강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계절적 질환, 연령대별 질환, 다빈도 질환 등 지금까지 나와있는 질환만 추려 올려 계속 업그레이드 시키면 좋은 정보가 될 뿐 아니라 국제홍보용으로 활용해도 손색이 없다는 것이다.

학회가 한의학홍보를 위해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일본만 해도 학회가 시민상대의 강좌를 한달에 한번 의무적으로 주최하게 돼 있는 만큼 한국한의학회에게도 시민강좌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한의협이 나서 한의학회와 분과학회를 설득하면 더욱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철학적, 문화적 접근도 강조된다. 이 시각은 감기·CT 등 단순 사안을 갖고 양방과 대립해봐야 언론의 눈에는 밥그릇싸움으로밖에 비치지 않으므로 시야를 넓혀 이론적, 문화적, 철학적, 사회학적으로 접근해 동·서양의 차를 부각시키는 전략을 구사하면 시민단체와 시민사회 구성원들에게 훨씬 호소력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각 분야 권위자의 강연·기고·대담 등을 주선하는 전술적 조치를 병행하면 사회적 분위기를 일신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모든 전략·전술적 요구는 일을 수행할 주체가 형성돼야 성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종적으로는 사람의 양성과 확보가 관건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한의 각 단체가 일을 하도록 한의협이 뒤에서 기획·조사·홍보, 인재풀 형성 등을 지원해 주어야 하는데 정작 이런 일을 해야 할 사람들이 전문성이 없거나 승부욕, 책임감이 결여돼 추진력이 떨어지고 있다. 이들이 일을 하는 시스템을 개편하려 해도 사고의 한계로 부결되거나 지연되기 일쑤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회관 이전 이전에 완료됐어야 할 사무국 능률화를 위한 용역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도 한의협의 한계를 보여주는 일례로 지적되고 있다.

김승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