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대책, 여전히 성에 안 찬다”
상태바
“한의협 대책, 여전히 성에 안 찬다”
  • 승인 2006.06.16 14: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ebmaster@http://


일선한의사, 고려수지침학회 대책에 주력 촉구
양의계의 한의학 폄하에 정면 대결 주장도 많아

한의학의 가치를 전면적으로 부정한 보건신문의 일련의 보도가 나온 이후 일선한의사들은 극도의 불쾌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형식적이고 의례적인 차원을 벗어나 보다 근본적이고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게 터져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한의계는 보건신문이 전혀 검증되지 않은 내용과 객관성이 떨어지는 조사방법을 통해 작위적이고 허위적인 조사결과를 게재함은 물론 다양한 기획기사를 통해 한약의 가치를 부정, 폄하, 오도했다고 보고 격앙된 감정을 숨기지 않고 있다.

한의계는 보도가 나온 뒤 적극대응한 결과 양의계로부터 포스터 배포 중지 약속을 받아내는 한편 보건신문에 대해서는 민·형사상의 책임을 묻기로 결정했다.
한의협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한의협의 대책 중에는 보건신문의 모체인 고려수지침학회 대책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양의계의 한약부작용 마타도어에 대한 대책이 빠졌다는 것이 적지 않은 한의사들의 판단이다.

모 지부장은 “신문사는 언론중재 신청이나 민·형사상 조치를 취해봤자 시간만 끌뿐 결국 유야무야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근본적인 대책은 신문사의 실질적인 소유주나 다름없는 고려수지침학회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에도 용두사미 된 사례가 비일비재했다고 지적했다.

이렇듯 결과가 뻔한 데도 신문만을 상대로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격이라는 게 지부관계자들의 시각이다.
피해의 크기 측면에서 신문의 보도보다 더 심각한 일은 양의계의 한의학 폄하라는 게 많은 한의사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사실 양의계의 한의학 폄하로 가랑비에 옷 젖는 수준을 넘어 이제는 감기에 걸리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양의사가 환자를 지속적으로 교육한 탓이 크지만 결과적으로 비전문인조차 한의학의 가치를 경시하고 이용을 기피하는 풍조가 심화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단순한 홍보대책보다 데이터를 만들어서 근본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게 일선한의사들의 공통적인 생각이다. 한의협이 존재하는 이유도 있는 자료는 취합하고, 없는 자료는 학계에 의뢰해 생산해서 논리적으로 대응하라는 데 있다는 것이 이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방어적 수세적 차원의 대응을 넘어 양의계와 정면 대결을 펼치라는 주장도 만만찮다. 이런 의견은 양의계의 한의학 공격이 의료일원화를 추구하는 한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이 확실하므로 양의계에 공세 자제를 요청하는 것만으로는 문제가 절대 해결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런 의견은 일선한의사와 한약제조업계서 특히 많다. 이들은 한약의 우수성과 양약의 부작용을 동시에 홍보하면 국민적인 호소력이 있고, 동시에 한약관련단체의 광범위한 동조를 이끌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선의 의견에 대해 한의협의 한 관계자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면서 “양의계의 움직임을 보아가면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직접 맞대응하는 일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무엇보다 한의협의 기동력이 떨어져 상황이 끝난 다음에야 대책이 나오는 등 변죽만 울리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보건신문 보도 사건만 해도 최초의 보도가 나온 지 한 달 반 만에 대책이 나와 버스 지나간 뒤 손 흔든 격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밖에도 한의협이 강경책을 주저하는 데는 일선한의사들의 피로가 쌓이고 개인주의와 패배의식까지 겹쳐 공세를 펼 준비가 안 돼 있는데다가 한의협과 학회 간의 학술-행정 지원네트워크 미비 탓도 있다.
결국 양의계와 수지침단체의 집요한 한의학 죽이기에 맞서 적극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일선한의사들의 기대가 실현되려면 좀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김승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